주식 관련 기사를 읽다 보면 신주인수권부사채라는 용어가 언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어떤 기업이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했다는 식으로 기사가 나옵니다. 여기서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어떤 특징을 가진 회사채를 의미합니다. 이 글에서는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뜻, 발행 이유, 주가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아울러 전환사채와의 차이점도 살펴보겠습니다.
신주인수권부사채 뜻
신주인수권부사채는 채권자가 정해진 가격으로 신주(새로 발행되는 주식)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회사채를 의미합니다. 즉, 쉽게 말하면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를 말합니다. 영어로는 bond with warrant라고 하는데, 줄여서 BW라고도 합니다.
만약 채권자가 A기업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부여된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, 그는 계약상 미리 정해진 금액으로 A기업 신주를 인수할 수 있게 됩니다. 즉, 새로 발행된 주식을 무상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금액을 A기업에게 지급하고 주식을 받는 것입니다. 채권자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, 신주인수권은 소멸합니다. 하지만 원래의 사채는 소멸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채무자는 여전히 채권자가에게 채무를 갚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.
이처럼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 행사 시에도 채권은 여전히 남는다는 점에서 전환사채와 다릅니다. 전환사채의 경우 전환권 행사 시 신주를 받는 대신 채권은 사라집니다.
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이유
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채권 발행기업 입장에서는 회사채에 신주인수권을 부여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회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또한, 신주인수권을 함께 주면서 해당 회사채에 대한 투자자 수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. 채권자 입장에서는 회사채에 대한 이자를 받으면서, 주가 상승 시에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주식에 대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신주인수권부사채 주가 영향
채권자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, 해당 기업의 총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며 희석효과로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. 또한, 채권자가 신주인수권 행사 후 받은 주식을 바로 팔 경우 주가는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그럼에도 해당 기업의 향후 실적 전망이 긍정적이고 주가가 그리 고평가 된 것이 아니라면 주가는 다시 회복될 수 있습니다. 즉,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해당 기업의 실적 전망, 주가 고평가 여부를 살피는 게 중요합니다.
지금까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뜻, 발행 이유, 주가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회사채입니다.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기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채권자의 신수인수권 행사는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이 글은 한경 경제용어사전, 두산백과를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교환사채 뜻, 주가 영향 알아보기 [주식용어]
기업 뉴스를 읽다 보면 교환사채라는 용어가 나올 때가 있습니다. 주로 증권 관련 기사에서 어떤 기업이 교환사채를 발행했다는 소식이 들릴 때가 있습니다. 교환사채는 전환사채와 글자가 비
gefmr.tistory.com
댓글